논문요약 20

운동 강도의 VO₂max(최대 산소 섭취량) 향상 효과_Emmet Crowley(2022)

"The Effect of Exercise Training Intensity on VO₂max in Healthy Adults: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and Meta-Analyses" Emmet Crowley et al 2022. 🔍 주요 내용 요약연구 목적: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낮은 강도 훈련(LIT)과 고강도 훈련(HIT)이 VO₂max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기존의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종합하여 비교 평가함.분석 대상: 총 11개의 리뷰 논문이 선정되었으며, 이들은 평균적으로 23 ± 10개의 1차 연구를 포함하고 있음.주요 결과:모든 강도의 운동 훈련이 VO₂max를 유의미하게 향상시킴.일부 메타분석에서는 HIT가 LIT보다 약간 더 큰 ..

논문요약 2025.06.06

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말초신경병증에 적용한 운동 중재의 효과: 체계적문헌고찰 및 메타분석_ 최유현_인하대학교 간호학과 박사수료생. 2021

서론 1. 연구의 필요성항암화학요법 chemotherapy- 암 환자에게 시행되는 전신적인 치료방법 중 하나- 항암제가 세포분열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암세포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세포의 DNA 복제, 전사, 번역과정 막음- 핵산의 합성, 복제, 유사, 세포분열 방해하여 암세포 파괴- 암세포뿐만 아니라 빠르게 성장하는 정상세포에도 영향 - 오심, 구토, 탈모, 식욕부진, 설사, 변비, 말초신경병증 등의 부작용 *부작용_ 말초신경병증 chemotherapy- induced peripheral neuropathy,CIPN- 항암제로 인해 말초신경계의 감각신경, 운동신경, 자율신경 등에 염증, 손상, 퇴화- 유발 항암제:Platinum 계열 (oxaliplatin, carboplatin, ci..

논문요약 2025.05.12

운동신경세포병의 임상 척도_오성일(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신경과)2021

서론운동신경세포병: 운동신경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질적인 신경퇴행질환- 근위축측삭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, ALS- 척수숨뇌근위축증 spinal and bulbar muscular atrophy, SBMA- 척수근위축증 spinal muscular atrophy, SMA- 양성국소근위축증 benign focal amyotroohy, 히라야마병 수년간 운동신경세포병은 개별적인 분류에 따른 세부적인 연구와 다양한 임상시험을 통해 치료적 접근 이루어짐질환의 특성에 기반한 임상적 악화 정확하게 반영하는 임상척도에 대한 개발과 적절한 시행에 필요성목적: ALS, SBMA, SMA 일반적으로 쓰이는 한글화된 척도와 임상 척도 위주로 소개, 임상의가 적절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..

논문요약 2025.05.11

주기화 트레이닝 모델에 따른 중학교 축구선수들의 체력 및 하지 근 기능 비교 연구_전병호_한국체육과학지,2024

1. 서론 * 축구의 특성- 팀의 단결된 협력이 중요한 스포츠 - 경기 중 완성도 높은 기술과 전술을 수행- 근체력, 순발력, 민첩성, 심폐지구력 등 여러 복합적인 체력 요인 필요- 지도자는 선수의 기술적 능력, 체력, 민첩성, 조정력 등 다면적 발달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 주기화, 시기별 세분화 * 주기화 이론(1) Matveyev 1966- 트레이닝을 주기별로 구성- 효과적으로 계획하고 분석 - 시합주기에 맞춰 세부적인 단계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적용- 과학적, 체계적 트레이닝 방법- 16주 이상의 긴 적응 기간 필요 (2) 블록 주기화 트레이닝 1980- 축적 accumulation, 전환 transmutation, 현실화 realization 단계- 각 단계의 목표치 최소화하여 트레이닝 기간 비교적..

논문요약 2025.05.11

트레이닝 연구의 동향 분석_박주식(계명대)_코칭능력개발지2024

코칭능려개발지2024 제26권 제1호 pp159-1672023년도 정부(교육부)의 제원으로 한국연구재단-대학혁신지원사업의 지원 수행 연구 1. 서론트레이닝training- 움직임으로 인한 운동 자극에 적응하는 능력을 이용하여 일상생활, 특정환경에 필요한 기능 발달시키는 종합적인 과정- (전통적) 운동선수의 경기력 향상 -> (최근) 일반인들의 건강과 체력 향상으로 확대 * 기능성 트레이닝 Functional training 원리- 인체의 고유수용성감각proprioception 자극 * 기능성 트레이닝의 이점- 근신경 조절 능력 향상- 일상생활 및 스포츠 활동에 필요한 기능적 움직임 향상- 운동 퍼포먼스 향상 - 신체 종합적으로 훈련하여 움직임 패턴 개선- 운동기술, 동작 패턴, 근력, 민첩성, 균형감각,..

논문요약 2025.05.10

[정리통합] 한국 성인의 혈청 요산과 고혈압의 연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일, 채소, 견과류 섭취: 전국 조사

Consumption of fruits, vegetables, and nuts influences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uric acid and hypertension in Korean adults: A nationwide survey (KNHANES 2016–2021)과일, 채소, 견과류 섭취량 * 연구목적- 식이섭취가 혈청요산 SUA 수치와 고혈압에 위험에 미치는 영향 조사-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 분석- 19-64세 성인 기준, 19,140명 포함- 24시간 화상법 사용하여 식이섭취량 평가* 혈액 : 혈장과 혈구로 구분 * 원심분리기로 네가지 층으로 분리: 물 무게에 따라서 층이 짐 1) - (1) 혈장 55%- 물 성분과 혈장 단백질로 구성- 다망색, 붉을 다- 피..

논문요약 2025.04.14

[ 정리_07 ] 과일, 채소, 견과류 섭취가 한국 성인의 혈청 요산과 고혈압에 미치는 연관성

* 논의 - KNHANES 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한국 성인의 일일음식섭취가 SUA 수치와 고혈압 사이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조사- 사분위수에서 SUA 수치가 상승한 참가자에서 SBP, DBP, hs-CRP 수치가 증가하는 추세 관찰- SUA 수치와 고혈압 확률 사이의 이러한 긍정적인 연관성은 조정 후에도 지속됨- 과일, 채소, 견과류, 우유 적게 섭취하고 해산물과 알코올 매일 섭취하는 SUA 사분위수가 그렇지 않은 참가자보다 고혈압 확률이 훨씬 높음  역학 연구에서 축적된 증거에 따르면- SUA 수치와 고혈압 사이에는 강한 연관성이 있음- 가장 높은 사분위수의 OR 1.90(1.55-2.33) 으로 미국 국가 횡단연구에서 가장 낮은 SUA 사분위수에 비해 높음- 중국 성인 만성 질환 및 영양 감시의 전국..

논문요약 2025.04.05

[ 정리_06 ] 과일, 채소, 견과류 섭취가 한국 성인의 혈청 요산과 고혈압에 미치는 연관성

* SUA 사분위수와 고혈압 위험 간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다변량 분석 결과  SUA 수치가 증가함에 따라- 고혈압 유병률도 증가  SUA 수치가 높은 참가자- SUA 수치가 낮은 참가자에 비해 고혈압 발병 확률이 현저히 높음 연령, 성별, BMI, 교육 수준, 소득 상태, 음주, 흡연, 운동 및 에너지 섭취량을 광고로 정의한 결과- 3분기 OR: 1.22 (95%, CI: 1.04-1.43)- 4분기 OR : 1.68 (95% CI: 1.41=1.99)- 1분기 p- 추세

논문요약 2025.04.05

[ 정리_05 ] 과일, 채소, 견과류 섭취가 한국 성인의 혈청 요산과 고혈압에 미치는 연관성

* 연구 참가자의 일일 영양소 섭취량과 식품 카테고리를 포함한 식이 섭취 정보  SUA 농도- 단백질, 지방, 포화지방산, 단일 불포화 지방산, 나트륨 및 나이아신의 일일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있음- 탄수화물 및 엽산 섭취량과 반비례 SUA 수치가 높은 참가자- 육류와 알코올 더 많이 섭취

논문요약 2025.04.05

[ 정리_04 ] 과일, 채소, 견과류 섭취가 한국 성인의 혈청 요산과 고혈압에 미치는 연관성

* 결과- 총 19,140명의 성인(남성: 7,885명, 여성: 11,255명)  * SUA 사분위수 전반에 걸친 연구 참가들의 특성  - 평균연령 SUA 수치: 사분위수 전반에 걸쳐 증가하는 추세- SUA 수치가 높은 참가자들은 더 젊고 남성일 가능성이 높음 - 사분위수 4 : BMI 가장 높음/ 전위된 SBP와  DBP , 총콜레스테롤, 중성지방, LDL 콜레스테롤 농도 증가, 고감도 이티 C- 반응성 단백질 hs-CRP의 수치 높음: 아테로제닉 지수 높음: HDL 콜레스테롤 수치 가장 낮음 - SUA 수치가 높은 참가자들은 현재 음주와 흡연자일 가능성 높음, 교육 수준도 높음

논문요약 2025.04.0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