📊 메타분석 결과 요약
- 전체 효과 (Overall Effect):
- SMD = -0.28
- 95% CI = [-0.47, -0.09]
- P = 0.004 → 통계적으로 유의미함 (p < 0.05)
- 즉, 운동 중재가 CIPN 증상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킴
- 이질성 (Heterogeneity):
- I² = 0% → 연구들 간에 통계적 이질성 없음 (연구 결과가 일관됨)
- Chi² = 1.55, df = 3, p = 0.67 → 이질성이 없다는 가설을 기각하지 않음
🧩 시각적 해석 (Forest Plot)
- 네모: 각 연구의 효과 크기(SMD)
- 크기는 가중치(표본 수 등)에 비례
- 가로선: 95% 신뢰구간 (CI)
- 수직선(0)을 지나지 않으면 통계적으로 유의
- 검은 마름모: 전체 평균 효과
- 마름모가 수직선(0) 왼쪽에 있고, CI가 0을 포함하지 않음 → 유의한 효과 있음
✅ 결론
- 운동 중재는 CIPN 증상을 경미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.
- 네 가지 연구 결과 모두 일관된 방향성을 보여주며, 이질성도 거의 없습니다.
- 특히 Kleckner et al. (2018) 연구가 전체 메타분석에서 가장 큰 영향(84%)을 미쳤습니다.
'임상운동생리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운동의 점진적 증가의 중요성 (0) | 2025.06.03 |
---|---|
표 번역 (0) | 2025.05.19 |
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말초신경병증에 적용한 운동 중재의 효과: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(2021) (0) | 2025.05.18 |
A8. 화학요법에 의한 말초신경병증(CIPN)의 증상 완화를 위해 **감각운동 훈련(SMT)**과 **전신 진동 훈련(WBV)**의 효과를 비교한 무작위 통제 파일럿 연구_Streckmann et al. (2019) (0) | 2025.05.18 |
A7. 화학요법에 의한 말초신경병증(CIPN) 증상과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'케어 번들 접근법'의 효과를 평가_Kavitha S. 2017 (0) | 2025.05.18 |